popup zone

[에너지신소재공학과]안건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금속 집전체 기술 개발

등록일 2025-07-11 작성자 학과 관리자 조회 11

그래핀 코팅 스테인리스강 집전체로 기존 그라파이트 집전체 한계 돌파

ㅇ
동국대 에너지신소재공학과 안건형 교수 연구팀(왼쪽부터 안건형 교수, 이재연 대학원생) /사진=동국대 제공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동국대(총장 윤재웅)는 에너지신소재공학과 안건형 교수(교신저자), 이재연 박사과정생(제1저자), 허희연 경상국립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생(제1저자)과 GIST 중앙기기연구소 조용륜 박사(교신저자)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수계 아연 이차전지의 산업화를 위한 혁신적인 금속 집전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 그라파이트 집전체의 기계적 한계를 극복하고,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적합한 실용적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해당 연구 결과는 에너지 재료 분야 국제저명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 (IF=26.0, JCR 상위 2.5%)에 "Industrial Scalability of Zinc-Ion Batteries: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ith High Mass Loading Electrodes on Graphene-Coated Metal Current Collector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으며, 25년 6월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

수계 아연 이차전지는 물을 용매로 하고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낮고, 화재 위험이 없다. 또한, 친환경 이차전지이자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이상적인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그라파이트 집전체는 기계적 강도가 낮아 얇고 넓은 집전체를 활용해 연속 제조하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새롭게 주목받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집전체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지만, 표면 산화층으로 인한 전기전도도 저하와 전극 재료와의 접착성 문제로 전지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집전체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하면서 산화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혁신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안건형 교수 연구팀은 스테인리스강 집전체에 그래핀을 코팅한 후 400°C에서 열처리해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팀은 "그래핀의 탄소 원자(C)가 산화층의 산소(O)와 반응해 CO와 CO₂ 가스를 형성하면서 산화층이 완전히 제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그래핀 코팅 스테인리스강 집전체는 그라파이트 집전체 대비 약 3.1배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냈으며, 그래핀의 결정성 역시 크게 향상됐다.

 

특히, 후막 전극 조건(13.27mg/cm⁻²) 및 0.3C, 2.0C 환경에서 단위 면적당 각각 1.90, 0.91mAh/cm⁻²의 용량을 보였으며, 1.0C에서는 1,500사이클 후에도 에너지 저장 용량 유지율 88.7%를 보이는 등 뛰어난 장기 안정성을 입증했다. 기존 집전체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차세대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필수 특성을 충족시킨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금속 집전체 적용 및 롤투롤 제조공정으로 각형 셀을 직접 제작했으며, 1.0C에서 1,000사이클 후 74.7%의 에너지 저장 용량 유지율을 달성해 그 실용성을 확인했다. 기계적 강도가 부족해 공정 중 찢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그라파이트 집전체와 비교해, 개발된 금속 집전체는 리드탭 역할을 겸할 수 있고 공정에서도 찢어지는 경우가 감소하는 등 제조 효율 역시 크게 개선됐다.

안건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계 아연 이차전지 산업화의 걸림돌이었던 집전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이라며, "높은 전기전도도와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구현하고,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기술은 롤투롤 제조공정 적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과 비용 절감이 가능한 산업화 친화적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 '에너지국제공동연구(R&D)' 사업, 한국연구재단 주관 '개인기초연구' 사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주관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사업 및 '소재부품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기사 : 동국대 안건형 교수 연구팀, 고성능 금속 집전체 기술 개발 < 대학뉴스 < 대학 < 기사본문 - 베리타스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