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Research Center for Photoenergy Harvesting & Conversion Technology (phct))
연구소 일반현황
설립 목적
- 지구 온난화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신재생/친환경 기술에 대한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연구경쟁력 강화
- 다양한 형태의 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융합 및 생산 소재 개발 및 소자 최적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인프라 구축
-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을 통해 산학 협력 및 연구경쟁력 강화
- 연구와 교육 활성화 및 국내 및 해외 공동 연구를 통한 전문화된 융합형 연구인력 양성
- 광에너지 활용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융합 및 생산 소자에 관한 학문적 연구 수행
- 산학의 복합적 연계를 통한 실무형 인재 육성
- 교내·외 핵심 연구소들과 협업을 통한 연구 클러스터 구축
- 국내·외 저명 연구자 위촉 및 초빙을 통한 연구 인프라 (연구 클러스터(단)) 구축
- 연구 클러스터를 통한 대형 국가 연구 개발 사업 수주
연혁
- 2017.01.02 : 광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 신설 (연구소장 이재준 교수)
소재지
- [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 신공학관 2150호 (필동3가)
조직도
주요 협력 기관(산학연협력 네트워크, 기업 등)
- 동진쎄미켐, ㈜라눅스, ㈜메타에너지 프런티어, ㈜아스타, ㈜에코기어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국내외 대학 등 다수
주요 연구 분야
핵심 연구 분야 및 세부 연구 주제
- 신재생/ 친환경에너지 소재 및 소자
- 차세대 태양전지 및 광전에너지 변환, 광연료, 공촉매
- 반투명/투명 에너지 변환 소재/소자
- 도심 및 건물 적용 광에너지 재활용 및 건물에너지 효율화
- 인공광전지 기반 저전력IoT 연계를 통한 스마트 건축물 및 스마트시티 구현
- 자연유래 폐기물 및 플라스틱 소재 재생 및 고부가가치 자원화 기술
주요 연구 성과
주요 연구 성과(대표 논문, 특허, 기술이전 사례, 기술사업화 실적 등)
- 2021.07.~2025.06. 기준 약 180여 편의 SCI급 논문 게재
- 2021.07.~2025.06. 기준 약 77.9억 원의 외부 연구비 수주
- 친환경 인공광소재/소자에 대한 원천기술을 토대로 ㈜메타에너지 프런티어 창업
국내, 국제협력 현황(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행 등)
- 2017.01. : [국제] The 3rd Best-Efficiency Engineering Research Workshop for Perovskite Photovoltaics and Beyond (BWP-3) : Student-Oriented Junior Scientist's Union for PV in 2017 개최
- 2023.03. : [국내]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23 춘계학술대회 공동 개최
- 2023.09. : [국제] Global Photovoltaic Conferecne 2023 (GPVC 2023) 공동 개최
- 2024.08. : [국제] Global Photovoltaic Conference 2024 (GPVC 2024) 공동 개최
- 2025.02. : [국제] Electrochemical Technology for Hydrogen and Upcycling of Waste Materials (H2 & Upcycling) 개최
- 2025.03. : [국내]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25 춘계학술대회 공동 개최
향후 계획
단기 및 중장기 목표, 신규 연구 영역 및 전략 방향(작성 예시)
- 1단기 목표
- 청정 나노·바이오·환경 소재/소자 원천기술 확보
- 교내외 연구 협력 네트워크 확대 및 성과 창출 가속화
- 2중장기 목표
- 융합형 연구 인력 양성
- 기후변화 대응형 청정 소재/소자 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 전략 연구 분야 선도
- 3신규 연구 및 전략 방향
- 친환경 에너지 변환⦁저장/바이오센서⦁의료진단/환경 모니터링 스마트 소재 및 소자 개발
- 전공·분야 간 융합연구 강화 및 연구 인프라의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