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건축학교육인증센터 (Korea Architectural Accrediting Board)

연구소 일반현황

설립 목적

  •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orea Architectural Accreditation Board, 이하 “건인원” 또는 “KAAB”)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건축사자격의 최소 교육요건에 필요한 건축학교육 프로그램 인증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건인원은 건축학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과기준과 교육지침을 제시하고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함으로서 건축설계의 전문지식과 건축 산업구조의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성, 윤리성, 그리고 리더십을 갖춘 국제수준의 건축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건축학교육의 질적 제고와 건축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여 관련 건축산업 전반의 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연혁

  • 2025.03.: 제 11대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원장 취임 (원장:이명식)
  • 2023.05.: 캔버라어코드 정회원자격 재심사 결과 최고등급 “6년 인정”
  • 2017.05.: 교육부 고등교육 학문분야 평가인증 인정기관 재지정 최고등급 ”5년 인정”
  • 2016.05.: 캔버라어코드 정회원자격 재지정 심사(CA Comprehensive Review)
  • 2016.01.: 국제인증사업 인도네시아 ITB(Institute Technology Bandung) 대학교 인증

소재지

  • (우06687)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87(방배동 917-9) 건축센터 202호

조직도

주요 협력 기관

  • 회원단체 / 관련기관 :

    - 대한건축학회 (AIK)

    - 대한건축사협회 (KIRA)

    - 한국건축사협회 (KIA)

    - 교육부 (MOE)

    - 국토교통부 (MOLIT)

  • Canberra Accord 협의체 기구 :

    - 국제 인증제도 협의체

    - Canda (CACB)

    - China (NBAA)

    - CAA

    - Hong Kong (HKIA)

    - Japan (JABEE)

    - Mexico (ANPADEH)

    - South Africa (SACAP)

    - USA (NAAB)

    - 세계건축연맹 (UIA)

    - Taiwan (IEET)

  • 국제관련기구 :

    -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UNESCO)

    - 미국건축사등록원 (NCARB)

    - 영국왕립건축가협회 (RIBA)

주요 연구 분야

건축학 교육 인증제도

  • 대학교육에서 인증제도는 전문직 분야인 전문학위과정을 대상으로 각 직능분야 이해단체들이 주관이 된 인증제도 운영을 통해 인증기준을 제시하고 교육기관의 교육내용을 전문가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조언해줌으로써 전문자격에 요구되는 교육의 높은 질적 수준을 유지하고 전문자격제도와 관련하여 변화해가는 전문직종의 실무내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입니다.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이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건축사연맹(UIA)은 건축교육에 대한 기준과 함께 인증제도 운영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진 제도와 국제적 권고를 수용함으로써 국내 건축교육의 수준을 국제수준으로 격상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과 국제사회로 장벽없는 이동성을 위해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캔버라 어코드

  • 국제사회에서 건축학교육 인증제도를 운영하는 멕시코, 미국, 호주, 영국, 중국, 캐나다, 한국, 영연방(CAA) 등 건축학교육 인증기관과 세계건축사연맹(UIA)은 국가 간 인증제도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각 기관의 인증기준과 절차를 비교 검토한 결과 상호 동등하다는 것에 모두 동의하고, 각 국가가 부여한 인증학위를 상호 동등하게 인정하는 캔버라어코드(Canberra Accord)를 2008년 체결 및 2010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캔버라어코드를 통해 각 국가 간 교육과 정보 교류를 활성화하고 인재의 장벽 없는 이동을 보장함으로써 건축교육의 질적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회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회원들에 의한 방문평가를 수용하여야 하며, 현재는 일본, 홍콩, 대만, 남아프리카공화국, 세계건축사연맹(UIA) 등 회원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성과

주요 연구 성과

  • 건축사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2018. 06. 28 ~ 02. 22)
  • 2014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기관 국고지원사업 최종성과보고서 (2014. 04. 01 ~ 12. 31)
  • 2013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기관 국고지원사업 최종성과보고서 (2013. 04. ~ 2013. 12.)
  • 교육과학기술부 인정기관 지정에 따른 제도개선 및 보완 (2012. 04. ~ 2012. 12.)
  • 건축학교육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증제도 개선 연구 (2011. 04. ~ 2011. 12.)
  • 건축학교육의 국제 인증사업 타당성 조사 및 학위 평가시스템 개발연구 (2010.04. ~ 2010.12.)

국내, 국제협력 현황

  • 2008년 Canberra에서 개최된 제 3차 Round Table에서 각 인증기관들의 상호이해 증진과 공통 관심사에 대한 확인을 하였으며, 상호인증 협약의 구체적인 초안에 합의함으로서 멕시코, 미국, 중국, 캐나다, 한국, 호주, CAA 6개국 7개 기관으로 구성된 Canberra Accord가 발족되었다.
    이에 제 1차 Canberra Accord 총회를 개최하여 캔버라 협정문을 작성하였다. 협정문에서는 본 협정에 참여한 기구의 인증/인준 제도가 규정하는 건축학 전문학위가 본질적으로 동등하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으며, 각 기관에서 2010년 1월 1일 이후 인증한 건축학교육 자격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상호 인정하기로 확정하였다.
  •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은 2009년 5월 27일에 열린 UNESCO-UIA Validation Council for Architectural Education(UVCAE, UNESCO-UIA 건축학 인증/인정 기구) 정기회의(Council Meeting)에서 인정기관으로 승인되었음.
    본원은 2006년에 실행한 3개 프로그램에 대한 최초인증과, 당시 실사위원으로 참여하였던 Jim Scheeler, Wayne Drummond, George Henderson 등이 아주 우수한 인정기관이며, 훌륭한 프로그램들이라는 추천을 근거로 UVCAE의 방문절차(5~6인으로 구성된 Visit Panel이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의 실사에 직접 참여) 없이 UVCAE 위원회(UNESCO와 UIA를 대표하는 공동 위원장 + General Reporter + 5개 지역 공동 부위원장 10명으로 구성) 회의에서 인정기관 지정 안건으로 상정되어 만장일치로 인정을 받았다.
향후 계획

건축학교육 인증실사 예정 프로그램

구분 기간 작성 예시
2025년 전반기 경기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동아대학교, 연세대학교, 호서대학교,목원대학교, 신라대학교
2025년 후반기 금오공과대학교, 경일대학교, 배재대학교, 인천대학교(4+2), 한밭대학교, 인도네시아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2026년 전반기 국민대학교, 전남대학교(광주),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남대학교, 동국대학교(4+2), 경성대학교 인도네시아 USU, 인도네시아 UNPAR
2026년 후반기 경상국립대학교(구 경상대 및 경남과기대), 목포대학교, 세종대학교, 아주대학교, 영남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여수), 인도네시아 UGM (University Gadjah Mada) 강원대학교(삼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7년 전반기 광운대학교, 숭실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인제대학교,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7년 후반기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설계학과, 인도네시아 PCU (Petra Christian University)
2028년 전반기 부산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원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주대학교
2028년 후반기 고려대학교, 명지대학교(건축학, 전통건축),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충북대학교, 동명대학교, 계명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가천대학교
2029년 전반기 경남대학교, 동서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조선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ERICA), 홍익대학교(서울), 홍익대학교(세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9년 후반기 강원대학교(춘천),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충남대학교, 한양대학교(서울, 학부), 순천대학교, 단국대학교, 전주대학교
2030년 전반기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울산대학교
2030년 후반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경북대학교, 공주대학교, 원광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인도네시아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