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에너지/전자재료연구소 (Advanced Energy and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Center)
연구소 일반현황
설립 목적
- 본 연구소는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재료 분야의 연구․개발, 산학협력 및 관련 인력 양성, 그리고 학내 및 국내․외 연구네트워크 구축, 활성화를 통하여 본 대학의 에너지 및 전자재료분야의 연구역량을 극대화하고 동국대학교 및 나아가 국가/지역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혁
- 2019.01.01 : 연구소 조직 개편 (연구소장: 남경완 교수)
- 2013.08.16. : 차세대 에너지/전자재료연구소 신설
주소
조직도
- 연구소장 (남경완 교수)
- 연구부소장 (김현석 교수)
- 총무 (진하늘 교수)
- 상임연구원 (한영규 교수 외 5명)
주요 협력 기관
- 포스코 홀딩스, 엔켐, 비츠로셀, 럼플리어, 한솔케미칼 등
주요 연구 분야
- 에너지재료/전자재료
- 에너지재료, 광에너지, 고체재료, 유기전자, 광전자, 유연전자
- 연구 인프라: XRD, Raman Spectroscopy, Keithely 4200, 마이크로 프루브 챔버 등
주요 연구 성과
주요 연구 성과
- Nature Energy Vol. 3, pp. 690-698 (2018)
- Nature Communications volume 15, Article number: 6153 (2024)
- Advanced Materials, 34, 2202574 (2022)
- ACS Nano, 15, 4, 7700–7712 (2021)
국내, 국제협력 현황(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행 등)
- Brookhaven National Lab. (Dr. Xiao-Qing Yang 연구팀)
- Kyushu University (Prof. Adachi Chihaya 연구팀)
- NIMS (Photovoltaic Materials Group)
- CIRIMAT 연구소 (Dr. Jeremy Soulie 연구팀)
향후 계획
단기 및 중장기 목표, 신규 연구 영역 및 전략 방향(작성 예시)
구분 |
기간 |
작성 예시 |
Vision |
5년~10년 |
초융합적 에너지/전자재료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 |
중장기 전략 방향 |
3년 이상 |
에너지/전자재료 연구의 실용화 추진 |
중점 추진 과제 |
1년 단위 |
에너지/전자재료 혁신연구성과 창출 |
세부 실행 과제 |
학기/월 단위 |
에너지/전자재료 특화 교육, 랩 조인트 세미나, 국제학회 학술대회 활동 |
향후 계획
단기 및 중장기 목표, 신규 연구 영역 및 전략 방향